마케터 스펙업! 모비아카데미

인사이트

2022 소매 시장 트렌드

  • by 마케팅기획실
  • 등록일2023-02-14
  • 조회수27843

2022 소매 시장 트렌드: 플랫폼으로 도약하는 편의점의 미래




쇼핑 채널의 변화와 편의점의 성장세


디지털 전환에 따라 빠르게 성장 중인 온라인 쇼핑 채널은 유통산업의 전반적인 성장세를 주도하고 있는데요. 특히 코로나19 기간 동안 음·식료품, 신선식품, 생활용품 등 생활 필수재 품목에서의 온라인 쇼핑이 크게 활성화되었습니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이에 따라 기존에 해당 기능을 하던 대형마트, 준대규모점포(SSM)등의 오프라인 유통업체가 실적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반면에 비슷한 품목을 취급하는 편의점 업종이 최근 성장세를 꾸준히 이어나가는 것은 주목할 만합니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이번 <2022 소매 시장 디지털 트렌드>에서는 오프라인 쇼핑 채널의 강자로 자리잡은 편의점의 트렌드와 전략을 조명해보고자 합니다.



상품(MD)의 차별화

먼저, 편의점은 고객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상품 기획을 통해 소비자를 공략하는 한편 제품 차별화를 통해 브랜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는데요. 특히, 방문 고객층에게 업셀링 및 크로스셀링할 수 있는 PB 상품을 연이어 출시하며 매출을 높이고 수익성을 개선하는 데에 주력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한편 여러 제품 중에서도 주류 제품의 라인업을 강화하는 모습이 눈에 띄는데요. 최근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프리미엄 제품 등 색다른 주류 제품을 즐기는 트렌드가 형성되면서 편의점 업계는 이색 브랜드, 인기 브랜드와 협업하여 제품을 출시하며 바이럴 형성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매장의 변화


편의점은 물건만 판매하던 과거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벗어나 소비자에게 이색적인 브랜드 경험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팝업 스토어를 기획하여 브랜드 이미지 쇄신을 유도하는 등 변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또한, 편의점 업계는 디지털화라는 트렌드에 맞추어 리테일테크를 주도하고 있는데요. 무인 결제 시스템 등을 도입하며 점포 운영의 효율성을 증대하고, 매장 공간에 디지털 서비스를 도입하며 온라인 환경에 친숙한 소비자들을 고려해 디지털 고객 경험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플랫폼의 활용

편의점들은 오프라인 뿐만 아니라 온라인 영역에서의 확장도 도모하고 있는데요. 특히 모바일 앱 서비스를 통해서 접근성을 더욱 높이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앱으로 이용할 수 있는 편의점 서비스가 다양해지면서 더욱 많은 소비자가 앱 서비스로 유입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편의점 업계는 앱 서비스를 통한 매출 증대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에 더해,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MZ세대와의 새로운 디지털 접점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편의점 공간을 ‘제페토’ 등의 메타버스 서비스에 구현하는 식으로 콘텐츠를 개발해 이벤트를 운영하여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마트 24 같은 경우 신규 메타버스 플랫폼 ‘짠’과의 협업을 통해 메타버스 공간 기반의 음주 문화 트렌드를 형성하기도 했습니다. 





옴니채널 강화 및 라스트마일 혁신


마지막으로, 편의점 업계는 퀵커머스 산업 트렌드를 활용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채널이 서로 연계되는 O2O 서비스를 출시하여 옴니채널 전략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특히 앱 서비스, 드론 등의 기술을 통해 온·오프라인에서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며 고객을 위한 라스트마일 딜리버리를 강화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작성자: 이두형(dhlee_@mobidays.com)




닫기
공유하기
글 작성 시 입력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TOP